직업상담사 시험과목 개별 공부비법
많은 과목들을 준비해야하기때문에
시작도 전에 머리가 아파올수도
있는 자격증 시험이 바로
직업상담사 시험인데요.
직업상담사 시험과목은
필기 다섯과목
직업상담학,직업심리학,직업정보론
노동시장론,노동관계법규
로 이루어져 있고,
실기시험은 직업상담실무 한과목으로
종합 여섯과목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직업상담사 시험과목별로
공부방법을 알아두면
쉽게 공부할수있는게
바로 직업상담사 시험이기도 해요.
그래서 이번에는 직업상담사 시험과목
개별 공부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나마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직업심리학과 직업상담학은
상담기법은 물론 심리검사에서
출제가 많이 되고 있어요.
특히나 많은 상담학자들의
이론 뿐아니라 학파와의
연관성등도 중요 하답니다.
특히 프로이트와 아들러
로저스 등의 심리학과 상담학에
대해서는 출제비중이 높으니
중점적으로 공부하시는게 좋답니다.
직업정보론은 암기위주의
과목이기때문에
좀더 수월할수도 있겠는데요.
사회적 사용 규약 약속에 대한
정의와 개념들이 많이 나오고있어요.
전반적인 용어들과 정의에 대한
파악만 제대로되면
크게 어렵지 않은 과목이기도 합니다.
노동시장론은 표와 계산에대한
문제들이 출제가되기 때문에
숫자에 약하신 분들은
조금 당황스러우실수도 있어요.
하지만 대체로 나오는 문제들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자주나오는 문제들에 대한
몇가지 공식들만 외워두시면
계산도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기출문제들을 많이 풀어보고
적응한다면 도움이 된답니다.
다만 직업상담사 실기시험에
노동시장론에 대한 깊은이해가
되어야만 풀이할수있는 문제들이
자주 출제되고 있으니
확실하게 기본이론을
정리해주시길 바랍니다.
직업상담사 시험과목중 노동관계법규는
모든 법과목이 그렇듯
꼬아놓은 문제들은 없고
확실한 내용들이 출제되고 있어
헷갈리는 문제는 적은편인데요.
물론 아무래도 평소에 접하지않는
법률관련 과목이기 때문에
초반에는 어렵게 느낄수도 있어요.
하지만 반복적으로 보고
법조문 암기만 확실하게 하면
특별히 문제될게 없답니다.
특히 다른과목들과는 다르게
실기시험에서는 출제되지않는
과목이기 때문에 다른 과목들보다는
비중을 늘리지는 않아도 될것같아요.
이상 직업상담사 시험과목별
공부방법에 대해서 아주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특히 이론공부이후에는
직업상담사 시험과목별로 기출문제
풀이를 꾸준히 하시는게 좋아요.
아무래도 기출문제에서도
출제비중이 높기 때문인데요.
단순 풀이에서 끝나지는 마시고
꼭 유형파악과 내용정리까지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